비전공자 공부일기/:: Computer Science
-
[자료구조] List, Set, Map 비교 (feat.파이썬)비전공자 공부일기/:: Computer Science 2021. 10. 18. 19:30
자주 쓰이고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자료구조의 개념. 몇 번 공부하고 이해하고 해도 안 쓰다보면 금새 잊어버린다. 현 직장은 자료구조 고민할 일이 별로 없다보니 금새 까먹고 있었다. 이번에 알고리즘 공부하면서 안할 수가 없어서 다시 손에 잡음. 고로 다시 내용정리, 오늘은 List, Set, Map을 정리해본다. 세 자료구조의 차이점 중복허용 순서보장 List O O Set X X Map X (Value중복은 O) X 파이썬의 List 자료형 객체를 일렬로 늘어놓은 구조로 되어있다. 객체를 인덱스로 관리하기 때문에 순서가 보장된다. List 컬렉션은 객체 자체를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객체의 번지를 참조한다. 동일한 객체를 저장할 수도 있는데 이 때도 동일한 객체의 번지를 참조하게 된다. 또한, null도 저..
-
[개념공부] Docker & Kubernetes 도커와 쿠버네티스비전공자 공부일기/:: Computer Science 2021. 7. 18. 16:41
요즘 클라우드 기술이 워낙 대두화되면서 기초 개념은 알아야 나도 어디가서 무시 안당할 거 같당 고로 적어보는 기초개념들 이번 글은 https://subicura.com/2017/01/19/docker-guide-for-beginners-1.html 포스팅을 내가 이해하기 쉬운 방식으로 다시 적어놓은 것일 뿐이고, 위 링크를 참고하는 것이 100만배 도움될 것임. 컨테이너 Container : 다양한 프로그램, 실행환경을 컨테이너로 추상화하여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프로그램의 배포 및 관리를 단순하게 할 수 있도록 해줌 기존에 가상화 방식은 주로 OS를 가상화하는 방식으로, VMWare같은 가상머신이 호스트OS 위에 게스트OS 전체를 가상화하여 올려 사용하는 방식이었다.(호스트형 가상화 방식) 간단한..
-
[전산기초] 신호 변환 방식비전공자 공부일기/:: Computer Science 2021. 7. 17. 14:41
1. 주파수와 대역폭 주파수 (Frequency) 주파수는 단위 시간(주로 1초) 내에 신호 파형이 반복되는 횟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단위는 Hz이다. - 고주파: 파형의 가로폭이 좁은 것으로, 고속 전송에 사용하고 전송 거리가 짧음 - 저주파: 파형의 가로폭이 넓은 것으로, 저속 전송에 사용하고 전송 거리가 길다. 데이터 주파수 음성 300 ~ 3,400 Hz HF (High Frequence) 3~300 MHz VHF (Very High Frequence) 30 ~ 300 MHz UHF (Ultra High Frequence) 300 ~ 3,000 MHz SHF (Super High Frequence) 3,000 ~ 30,000 MHz 대역폭 (Bandwidth) 주파수의 변화 범위, 즉 상한 주파수..
-
[전산기초] 정보 전송 방식비전공자 공부일기/:: Computer Science 2021. 7. 17. 13:59
1. 직렬/병렬 전송 디지털 전송 시 데이터 비트의 전송 방법에 따라 직렬 전송과 병렬 전송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직렬 전송 직렬 전송은 정보를 구성하는 각 비트들이 하나의 전송 매체를 통하여 한 비트씩 순서적으로 전송되는 형태이다. - 하나의 전송 매체만 사요하므로 전송 속도가 느리지만 구성 비용이 적게 든다. - 원거리 전송에 적합하며 대부분의 데이터 통신에 사용된다. 병렬 전송 정보를 구성하는 각 비트들이 여러 개의 전송 매체를 통하여 동시에 전송되는 형태 - 여러 개의 전송 매체를 사용하므로 전송 속도는 빠르지만 구성 비용이 많이 든다 - 근거리 전송에 적합하며 주로 컴퓨터와 주변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된다 2. 통신 방식 단방향 통신(Simplex) 한쪽 방향으로만 전송이 가능한 방식 양..
-
[전산기초] DOS의 개요비전공자 공부일기/:: Computer Science 2021. 7. 17. 13:14
DOS의 개요 1. DOS의 개념(Disk Operating System) -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에서 디스크와 파일 관리를 위한 운영체제 - 단일 처리 방식이며, CUI* 환경의 대표적인 운영체제 - 디렉토리(Directory) : 파일의 저장, 보관, 관리 등 효율적인 파일 사용을 위해 디스크에 존재하는 파일에 대한 여러 정보를 가지고 있는 특수한 형태의 파일 * CUI (Character User Interface) : 사용자가 문자 환경을 통하여 컴퓨터와 정보를 교환하는 작업 환경 2. 부팅 과정 - 부팅은 컴퓨터에 전원을 넣은 순간부터 DOS(시스템 프로그램)를 디스크로부터 주기억자치로 읽어 내어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 주는 과정을 의미 - 부팅에 반드..
-
[전산기초] 소수점의 표현 Fixed Point vs Floating Point비전공자 공부일기/:: Computer Science 2021. 7. 13. 23:54
2021.07.13 화니의 설명 필기! 이진법으로 소수점을 나타내는 방법 정수부분이 자릿수에 따라 x2, x4, x8, 16, ... 순으로 늘어간다. 한편, 소수부분은 x 1/2, x1/4, x1/8, ... 순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십진수로 25.625 라는 수를 나타낸다고 하면, 25 부분은 11001라고 표현할 수 있고, 625는 정수처럼 계산하는 게 아니라 1/2 + 1/8 이라고 계산해서 101 이라고 표현됨 소수점을 표현할 때 두 가지 방식을 쓸 수 있다. Fixed 소수점이 고정됐다고 가정 / 장점은 엄청 빠름. but 세밀한 계산이 힘듦(수가 커질수록 ㄴㄴ) / 따라서 임베디드같은 소형 하드웨어에서 쓰는 방법 ex) 1 byte = 0 0 0 0 / 0 0 0 0 0010.0010 십진수..
-
[전산기초] 보수 Complement = 보충하는 수!비전공자 공부일기/:: Computer Science 2021. 7. 12. 23:31
보수 '보정해주는 수' 라는 뜻으로, 같은 자릿수에서 가장 큰 값이 되기 위해 필요한 수(R-1의 보수) 혹은 자릿수를 한 자리 늘리기 위해 필요한 수(R의 보수)를 뜻한다. - 컴퓨터가 기본적으로 수행하는 덧셈 연산을 이용하여 뺄셈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 - N + N' = r 일 때 N'를 N에 대한 r의 보수라고 한다 - r진법에는 r의 보수와 r-1의 보수가 존재 --> 10진법에는 10의 보수와 9의 보수가, 2진법에는 2의 보수와 1의 보수가 있다 라고 하면 뭔 말인지 나도 모르겠으니까 쓰는 보충 설명 우리에게 익숙한 10진수의 경우 절대값 8의 양수는 8, 음수는 -8 이런 식으로 쉽게 구할 수 있다. 그런데 2진수를 쓰는 컴퓨터는 음수를 구하기가 쉽지 않다. 1101(2) 의 음수는 -110..
-
[전산기초] 자료의 표현비전공자 공부일기/:: Computer Science 2021. 7. 12. 23:03
자료 구성의 단위 자료의 구성 단위는 컴퓨터 내부에서 사용하는 물리적 단위인 비트, 바이트, 워드와 사람이 인식하여 사용할 수 있는 논리적 단위인 필드, 레코드, 파일, 데이터베이스가 있다. 1. 자료 구성의 단위 비트(Bit, Binary Digit) - 자료(정보) 표현의 최소단위 - 두 가지 상태(0, 1)를 표시하는 2진수 1자리 - 즉, 1 bit가 늘어날 수록 x2씩 표현 가능 니블(Nibble) - 4 Bit = 1 Nibble - 16진수 1자리를 표현하기에 적합 바이트(Byte) - 8 Bit = 1 Byte - 문자를 표현하는 최소 단위 - 1 Byte는 256(=2^8)가지의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 주소 지정의 단위로 사용 - 일반적으로 영문자나 숫자는 한 글자당 1Byte, 한..
-
[전산기초]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비전공자 공부일기/:: Computer Science 2021. 7. 11. 11:21
컴퓨터의 개념 1. 컴퓨터의 정의 - 컴퓨터(EDPS; Electronic Data Processing System)는 입력된 자료(Data)를 프로그램이라는 명령 순서에 따라 처리하여 그 결과를 사람이 알아볼 수 있도록 출력하는 전자(Electronic) 자료 처리(Data Processing) 시스템(System)이다. - 컴퓨터는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Automatic)으로 처리되므로, ADPS(Automatic Data Processing System)이라고도 한다. 자료와 정보의 차이점 * 자료(Data) - 현실 세계에서 어떤 측정을 통해 얻은 값 -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 수집한 단순한 사실이나 결과값 - 인간 또는 기계가 감지할 수 있도록 숫자, 문자, 기호 등을 이용하여 형식화한 것 * 정..
-
[전산기초] 인터럽트 Interrupt비전공자 공부일기/:: Computer Science 2021. 7. 11. 10:34
1. 인터럽트의 정의 인터럽트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도중에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 현재 실행중인 작업을 즉시 중단하고 발생된 상황을 우선 처리한 후 실행중이던 작업으로 복귀하여 계속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일명 '끼어들기'라고도 한다. - 인터럽트는 외부 인터럽트, 내부 인터럽트, 소프트웨어 인터럽트로 분류 --> 외부나 내부 인터럽트는 CPU의 하드웨어에서의 신호에 의해 발생 / 소프트웨어 인터럽트는 명령어의 수행에 의해 발생 - 동시에 하나 이상의 인터럽트가 발생하였을 때 먼저 서비스할 장치를 결정하는 인터럽트 우선순위 판별 방법에는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으로 폴링, 하드웨어적인 방법으로 데이지 체인과 병렬 우선처리 방식이 있다. -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인터럽트를 처리하고 되돌아올 주소가 스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