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전공자 공부일기/:: WEB & Front-End
-
[Web:] 자바 표현언어 EL(Expression Language)비전공자 공부일기/:: WEB & Front-End 2019. 8. 19. 11:23
EL은 JSP 문서로 된 뷰 페이지에서만 쓰는 "출력 전용 언어"라고 보면 된다. Spring을 할 때도 사용하기 때문에 꼭 알고있어야 한다! 무조건 객체가 공유되어야 사용할 수 있음 ${ 공유속성명 } 또는 ${ 객체명.필드명 } 또는 ${ 공유속성명.맵키 } 형식으로 작성 >> 자동으로 getAttribute() 메소드가 호출되어 공유 인스턴스를 출력 ${공유속성명.맵키} 형식으로 공유 인스턴스(Map)의 값을 반환받아 출력 ==> getAttribute() 메소드와 get() 메소드가 자동 호출 만약 공유 인스턴스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JS는 null을 출력하지만, EL은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는다. >> NullpointException이 절대 발생하지 않음 객체(클래스의 인스턴스)가 갖고 있는 필..
-
-
[WEB:Model2] Model2를 만들 때 알아두어야 할&주의사항비전공자 공부일기/:: WEB & Front-End 2019. 8. 13. 13:35
2019. 08. 13 필기 로그인 권한처리를 위한 되돌아보기 Page Scope : JSP 문서의 pageContext 인스턴스(PageContext 클래스)를 이용하여 정보 공유 - 공유한 JSP 문서에서만 공유된 정보를 반환받아 사용 Request Scope : JSP 문서의 request 인스턴스(HttpServletRequest 클래스)를 이용하여 정보 공유 - 공유한 JSP 문서와 제어권이 이동된 JSP 문서에서 공유된 정보를 반환받아 사용 Session Scope : JSP 문서의 session 인스턴스(HttpSession 클래스)를 이용하여 정보 공유 - 컨텍스트의 모든 문서에서 공유된 정보를 반환받아 사용(클라이언트마다 다른 정보 공유하여 제공) Application Scope : JS..
-
[WEB:Model2] 컨트롤러 만들기비전공자 공부일기/:: WEB & Front-End 2019. 8. 12. 19:32
2019. 08. 12 필기 컨트롤러(Controller)란? : MVC 중의 Controller는 클라이언트(브라우저)의 모든 요청을 받아 필요한 모델(Model)을 이용하여 요청처리 후 처리 결과를 뷰(View)로 전달하는 기능의 서블릿이다. Model2에서 사용되는 컨트롤러는 서블릿으로 만들어진다. 컨트롤러의 역할 1. 웹브라우저가 전송한 HTTP 요청을 받는다. doGet() doPost() 메소드 이용 2. 브라우저의 요청을 분석한다. 3. 모델을 사용하여 요청한 기능을 수행한다. 4. 웹브라우저에 보여줄 1. 클라이언트의 모든 요청을 받을 수 있는 단일 진입점 기능 구현 >> web.xml 파일 환경설정 클래스를 서블릿으로 등록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바로 클래스 위에 @WebServl..
-
-
[WEB : Ajax] Ajax 들어가기비전공자 공부일기/:: WEB & Front-End 2019. 8. 7. 20:57
Ajax란? :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의 줄임말로, 에이젝스라고 읽는다. XML 기반의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인 웹 브라우저와 서버 사이에서 교환하는 기법이다. Asynchronous는 우리말로 '비동기적'이란 뜻으로, 비동기적이란 페이지의 이동 없이 웹 브라우저 화면을 동적으로 변경하는 것이다. 또는, 페이지 이동 없이 한 페이지 내에서 여러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Ajax 구성 기술 요소 -- Javascript : 사용자 이벤트가 발생하면 XMLHttpRequest 객체를 사용해서 웹 서버에 요청 전달 / XMLHttpRequest 객체로부터 응답이 오면 DOM, CSS 등으로 화면을 조작 -- XMLHttpRequest : 웹 서버와 통신 / 사용자..
-
2019.07.17 아침요약비전공자 공부일기/:: WEB & Front-End 2019. 7. 17. 12:06
board_list.jsp --- 게시판 목록을 보여주는 페이지 >> 상세페이지, 답변페이지나 게시글을 삭제,변경하는 페이지 등으로 이동 가능 자기가 자신을 참조하는 경우도 있다. 제한적인 게시글만 출력 원하는 게시글만 검색되어 출력하는 기능 >> 페이징 처리 페이징처리에서 가장 중요한 건 sql문이다. rownum, 행번호 등으로 원하는 행만 검색할 수 있다. 행을 검색하기 위한 뷰는 인라인뷰로 만들어주고(가상의 테이블) rownum이라는 행번호를 붙여서 다시 인라인뷰를 만들어주고 rownum이 붙어있는 컬럼값을 통해 a행부터 b행까지 검색될 수 있도록 한다 totalpage를 구하려면 totalBoard를 통해서 게시글의 총 개수를 구한다 게시글의 총 개수를 통해 페이지 총 개수도 구할 수 있다 따라..
-
[WEB : JSP]비전공자 공부일기/:: WEB & Front-End 2019. 7. 12. 09:51
2019. 07. 12 필기 ...더보기 어제 수업내용 다시 쌤이 정리해주심 **액션태그들 돌아보기** include 액션태그는 요청과 응답하는 문서를 따로 구분해주기 위해서 함 응답 - 디자이너가 만든 문서 처리 - 개발자가 만든 문서 ---------------------------------이럴 때 필요한 게 forward 액션태그임! ---------------------------------'템플릿 페이지'(응답전용)를 만들어 씁시다 param 액션태그는 잘 사용하지 않고, 그보다는 session을 더 많이 씀 useBean-setProperty-getProperty 는 모델1에서, 많이 씀 ** DAO, DTO ** - DAO 클래스는 컨넥션풀이 필요한데, 우리가 배운 과정은 아파치가 제공해주..
-
[WEB : JSP] 액션태그 - useBean, setProperty, getProperty비전공자 공부일기/:: WEB & Front-End 2019. 7. 10. 13:50
2019. 07. 10 필기 자바빈 JavaBean이란? : 자바빈, 또는 자바빈즈라고 부르는 이 클래스는 JSP의 표준 액션태그로 접근할 수 있는 클래스로서, 값을 가지는 속성(=멤버변수)과 값을 설정하는 메소드(setter), 값을 추출하는 메소드(getter)로 이루어져 있다. 즉, 입력태그로부터 입력된 값을 전달받아(추출-getter) 필드값으로 저장(설정-setter)하기 위한 클래스이다. 이 자바빈즈는 하나의 JSP 페이지에 종속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JSP페이지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입력태그의 name 속성값과 클래스의 필드명을 같도록 선언해주어야 한다. JSP에서 자바빈은 세 가지 표준 액션태그로 수행한다. useBean / setProperty / getProperty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