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전공자 공부일기
-
[WEB : JSP]비전공자 공부일기/:: WEB & Front-End 2019. 7. 12. 09:51
2019. 07. 12 필기 ...더보기 어제 수업내용 다시 쌤이 정리해주심 **액션태그들 돌아보기** include 액션태그는 요청과 응답하는 문서를 따로 구분해주기 위해서 함 응답 - 디자이너가 만든 문서 처리 - 개발자가 만든 문서 ---------------------------------이럴 때 필요한 게 forward 액션태그임! ---------------------------------'템플릿 페이지'(응답전용)를 만들어 씁시다 param 액션태그는 잘 사용하지 않고, 그보다는 session을 더 많이 씀 useBean-setProperty-getProperty 는 모델1에서, 많이 씀 ** DAO, DTO ** - DAO 클래스는 컨넥션풀이 필요한데, 우리가 배운 과정은 아파치가 제공해주..
-
[WEB : JSP] 액션태그 - useBean, setProperty, getProperty비전공자 공부일기/:: WEB & Front-End 2019. 7. 10. 13:50
2019. 07. 10 필기 자바빈 JavaBean이란? : 자바빈, 또는 자바빈즈라고 부르는 이 클래스는 JSP의 표준 액션태그로 접근할 수 있는 클래스로서, 값을 가지는 속성(=멤버변수)과 값을 설정하는 메소드(setter), 값을 추출하는 메소드(getter)로 이루어져 있다. 즉, 입력태그로부터 입력된 값을 전달받아(추출-getter) 필드값으로 저장(설정-setter)하기 위한 클래스이다. 이 자바빈즈는 하나의 JSP 페이지에 종속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JSP페이지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입력태그의 name 속성값과 클래스의 필드명을 같도록 선언해주어야 한다. JSP에서 자바빈은 세 가지 표준 액션태그로 수행한다. useBean / setProperty / getProperty ..
-
-
[WEB : JSP] 내장객체비전공자 공부일기/:: WEB & Front-End 2019. 7. 9. 10:31
내장객체는 미리 제공되지만, 문제는 '언제까지' 이 객체를 사용하는지가 중요해지는데, 이게 바로 객체의 scope이다. 그래서 jsp문서에 어떤 객체가 제공되는 지를 알아야 한다. 내장 객체 : jsp문서를 만들 때 was가 자동으로 제공해주는 객체. page : JSP 문서에 대한 서블릿 인스턴스 저장하여 제공 - this 키워드와 유사 config : JSP 문서에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여 제공 - web.xml 파일의 저장값을 제공받기 위해 사용 out : JSP 문서에 포함될 값을 전달하기 위한 출력스트림을 저장하여 제공 requset : JSP 문서에 클라이언트의 요청정보(리퀘스트 메세지)를 저장하여 제공 response : JSP 문서에 클라이언트의 응답정보(리스폰즈 메세지)를 저장하여 제공 ..
-
-
[WEB : JSP] error - 에러메시지를 띄우는 방법 세 가지비전공자 공부일기/:: WEB & Front-End 2019. 7. 8. 11:20
2019. 07. 08 책에서는 1번 방법을 제시했고, 강사님은 2번 방법으로 강의하셨다. 3번은 내가 서칭해서 찾은 방법 1. JSP 페이지에 직접 에러페이지 지정 - page 지시자 속성 중 / 를 이용하는 방법 JSP문서 1 ------ 현 페이지가 오류 처리용 문서라는 선언 JSP문서 2 ---- 에러가 발생하면 문서1을 통해 오류를 처리한다는 선언 2. xml 페이지에 유형별로 에러페이지 지정 - 태그를 이용 //error-page는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처리하기 위한 태그로서, //처리할 오류가 무엇인지, 처리할 페이지가 무엇인지를 값으로 지정한다. //처리할 오류를 지정 - 오류의 객체 이름으로 지정(패키지명까지 정확히 나타내야 한다) java.lang.NullPointerEx..
-
[팀프로젝트] svn서버(협업툴)비전공자 공부일기 2019. 7. 4. 14:18
2019. 07. 05 내가 정리한 게 아닌, 강사님의 필기를 복붙하고 글양식만 정리한 내용 형상관리서버 - 형상관리서버(협업툴) : 소스, 버전등 변경 관리 >> 클라이언트에서는 eclipse를 이용해 작업 => CVS, SubVersion(SVN), Git등 ※ CVS 플러그인은 설치되어 있으나 SubVersion은 플러그인을 설치해야 사용 가능 repertory(저장소) 역할 IMPORT 클라이언트 ----> 서버 (팀장이 만든 프로젝트를 최초에 한번 전송) CHECKOUT 클라이언트 서버 (작업한 파일을 서버로 전송 : 자주 실행) UPDATE 클라이언트 https://www.visualsvn.com/server/download/ 2) user 및 group 생성 후 user를 group에 분류 ..
-
[WEB : Servlet] JDBC 연동 - (1)비전공자 공부일기/:: WEB & Front-End 2019. 7. 3. 20:49
2019. 07. 03 필기 이번에는 웹과 DB를 연동하는 법에 대해 배워보겠다. ※ 예전 작성 글: 2019/05/29 - [비전공자 성장기/:: ORACLE] - 오라클 DB 정리09-JDBC ※ 참고한 블로그 글 : https://opentutorials.org/module/3569/21222 자바를 통해 DB를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게 JDBC라고 배웠었었다. 다시 정의를 돌이켜 보면 JDBC란 Java DataBase Connectivity의 약자로서, 자바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고 SQL문을 수행, 처리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표준 SQL 인터페이스 API (=java.sql 패키지)이다. JDBC는 자바의 표준 에디션(SE)에서 지원한다. 그러나 DBMS 서버에 따라서 JDBC 드라이버..
-
[WEB : Servlet] Session 세션비전공자 공부일기/:: WEB & Front-End 2019. 7. 3. 11:22
2019. 07. 03 필기 ※ 쿠키에 대한 필기 -> (https://codingwanee.tistory.com/53) ※ 내용 참고하기 좋은 블로그 -> (https://victorydntmd.tistory.com/34) 세션 이해하기 세션(session)이란? - 연결 지속성을 제공하기 위해 서버에 저장되는 정보 - 서버에 정보를 요청할 때 생성되는 상태정보 저번 포스팅에서 쿠키에 대해 공부한 필기 내용을 올렸는데, 쿠키와 세션은 비슷하지만 다음과 같은 점에서 다르다. 구분 쿠키 세션 저장위치 클라이언트 서버 저장 데이터 타입 텍스트(문자열) 객체 저장 데이터 크기 제한 있음 서버에서 수용 가능한 만큼 쿠키는 클라이언트에 정보가 저장되는 반면, 세션은 서버에 클라이언트의 정보가 저장된다고 했다. 따..
-
[비전공자 눈높이] 자바, 웹+자바 관련 용어 심플정리비전공자 공부일기/:: JAVA 2019. 7. 2. 20:30
나는 비전공자 출신으로 국비지원 과정을 통해 자바 및 관련 언어 공부를 3개월 째 하고 있다. 과정의 중간이 지나긴 처음 자바와 C언어, 파이썬의 활용목적조차 모르고 모두 '컴퓨터 언어'로만 생각했던 내 눈높이가 생각났다. 전공자 또는 현직자에게는 어처구니 없을 정도로 쉬운 개념이지만, 비전공자에게는 그저 막막하고 검색하면 할수록 띠용 스러운 개념들이다. 그 중간 즈음에 있는 입장으로써, 비전공자 눈높이에 맞춰 용어 정리를 해보고자 한다. 자바, 자바란? 자바(Java)란? - 2000년대 중반 이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